NEPA
물류 센터

50%
인건비절감

2.9 Million
보관 가능 아이템 수

130,000
저장 로케이션수

66,000
일일 출고아이템수

Hai Robotics는 보우시스템(Bowoo System)과 협력하여,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NEPA의 신규 물류센터에 HaiPick System 3를 도입함으로써 NEPA의 물류 환경을 혁신적으로 개선했습니다.
이번 물류센터 업그레이드를 통해 보관 밀도는 크게 향상되었고 물류 처리 효율은 증가했으며 인건비와 창고 임대료는 대폭 절감되었습니다.이러한 개선은 NEPA의 사업 성장 및 성수기 수요 대응에 정확히 부합하는 솔루션이 되었습니다.
이 솔루션은 총 46대의 ACR(Autonomous Case-handling Mobile Robot)과 108대의 Fast-Transit Companion AMR를 활용하여, 케이스 단위와 낱개 단위 주문을 모두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NEPA는 모든 유통 채널에서 빠른 주문 이행이 가능해졌습니다. HaiPick System 3는 총 9,300㎡ 규모의 창고 공간을 최적화하였으며, 8.7m 높이의 랙을 통해 130,000개의 저장 위치, 최대 290만 개의 아이템 보관이 가능한 구조를 구현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물류 운영의 효율화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였으며, NEPA가 기존의 두 창고를 하나의 첨단 물류센터로 통합함으로써 창고 임대료 절감을 실현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빠른 제품 사이클과 다양한 SKU를 보유한 패스트패션 브랜드인 NEPA에게 성수기 수요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저장 능력 확보는 사업 운영의 게임체인저가 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총 13개의 피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있으며, Fast-Transit Companion AMR가 주문 처리용 토트(Tote)를 작업자에게 직접 전달합니다. 작업자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이 고정형 작업대에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하루 종일 창고 내를 오래 걷는 불편함이 완전히 사라집니다. 이로 인해 피킹 작업이 간소화되어 직원들의 업무 부담이 줄어들고,
성수기와 같이 주문량이 급증하는 시기에도 높은 효율로 대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B2B 출고량이 하루 60,000건, B2C 출고량이 하루 6,000건에 달하면서, 성수기에도 원활한 운영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효율성은 주문 이행 속도를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고객 만족도를 높여, NEPA가 대한민국 패션 물류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기존 창고는 육체적으로 힘든 피킹 작업이 필요했으며, 이로 인해 성수기 동안 인력 채용에 어려움이 발생했습니다. HaiPick System 3는 복잡한 피킹 작업을 자동화하여, 필요한 작업자 수를 절반으로 줄였고, 그 결과 인건비를 50%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
개선된 작업 흐름 덕분에, 작업자들은 사람과 로봇 간의 효과적인 협업을 통해 성수기 수요를 무리 없이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전에는 두 개의 분리된 창고를 운영하면서, NEPA는 재고 관리와 시장 변화에 대한 빠른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HaiQ 스마트 창고 플랫폼은 창고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상품 인기도를 기반으로 한 존 단위 저장, 비성수기 시간대의 적시 재보충, 작업대 근처로의 사전 아이템 분류 등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이러한 유연한 전략은 성수기 운영을 단순화시켜, NEPA가 주문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